몸통에 대한 중심 안정성의 발생 및 윗목 일으키기의 조절에 대한 몸통근 사이의 기능적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게 된다. 두 번째의 상호작용은 몸통근과 엉덩관절 근육들 사이의 운동학적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일반적인 예이다.
몸통근 사이의 기능적 상호작용
- 몸통에 대한 중심 안정성의 제공
- 일반적인 윗몸 일으키기 움직임의 조절
능동적인 근육의 힘은 척주의 안정성을 형성하는데 일차적인 작용을 한다. 인대나 다른 결합조직들에 의한 이차적인 안정성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근육은 힘의 크기와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몸통근은 몸통과 신체 전체의 중심 안정성을 제공한다. 안정성을 깨뜨리는 외적인 토크가 발생되더라도 몸통의 정적 자세를 유지시키게 된다. 전체 몸통근의 활성 변화는 달리고 있는 기차나 버스 안에 서 있거나 똑바로 앉으려 할 때 경험할 수 있다.
몸통의 중심 안정성은 사지를 움직이는 근육들을 위한 바닥부로서 기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어깨관절이 굽힘 하는 동안 배가로근은 앞 목 갈비근보다 38,9 msec 전에 활성화된다. 흥미로운 것은 허리통의 병력을 가진 사람이 어깨관절 굽힘을 수행할 때 배가로근의 EMG활동이 세 배나 지연되어 나타난다는 점이다. 근육 활성의 지연이 허리통의 실제적인 원인과 관련성이 있는지에 관한 주제는 매우 흥미롭다.
몸통의 근육 안정자는 해부학적 구조에 근거하여 내재와 외재로 나눌 수 있다. 내재 근육 안정자는 척주 영역 내에 부착되는 비교적 길이가 짧은 분절성 근육들이 포함된다. 이러한 근율들은 척주의 여러 분절 내에서 안정성을 섬세하게 조절하는 근율들이다. 반면에 외재 근육 안정자들은 머리뼈 골반 갈비뼈 그리고 하지와 같은 첮추의 영역 밖에 있는 구조물들에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부착되는 비교적 긴 근율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근육들은 몸통 전체의 안정성에 기여하며 척주와 하지 사이의 견고한 연결을 제공한다.
많은 활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몸 통근 들은 서로 상호 작용하거나 엉덩관절 근육들과의 상호작용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야구 방망이를 휘두르거나 피겨스케이팅 또는 눈을 치우는 동안에 나타나는 몸통과 엉덩관절의 복합적인 움직임을 고려해 보라. 이러한 협력성 상호관계의 배경에 대해서는 다음 단락인 윗몸일으키기 움직임의 근육 작용에서 다루게 된다.
배 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전략들이 사용된다. 운동의 일반적인 목표는 이러한 근육들의 근력과 조절을 강화하는 것이며 몸통의 중심 안정성을 강화하는 방법으로도 흔히 사용된다. 배근육 운동은 4가지의 큰 범주로 나누어진다.

1번에서는 칼 돌기와 골반 앞쪽 부분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배 근육들이 등척성 수축력을 발생시킨다. 2~4번에서는 칼돌기와 골반 앞쪽부분 사이의 거리를 줄이기 위해 배근육들이 수축한다. 가장 잘 알려져 있는 표준적인 윗몸일으키기 운동은 3번이다.
윗몸일으키기 운동은 "무릎 누운 자세(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을 굽힘 상태)에서 수행된다. 몸통 굽힘의 초기 단계는 어깨뼈가 매트에서 떨어졌을 때 종료된다. 엉덩관절 굽힘의 후기 단계는 넙다리뼈에 대한 골반의 굽힘이 73~90도인 시점이다.
몸통 굽힘 단계는 일차적으로 배 근육, 특히 배곧 은근의 수축에 의해서 유발된다. 배곧은근의 위쪽 부분 및 아랫부분은 이러한 움직임이 일어나는 동안에 동일한 강도로 반응한다. 위쪽 등뼈의 앞쪽 부분을 지나는 넓은 등근은 이 영역의 굽힘을 보조하고 큰 가슴근의 빗장뼈 자루는 상지와 머리가 골반쪽으로 진행하도록 보조한다.
윗몸일으키기의 목통굽힘 단계 동안에 등허리뼈는 굽게 되고 골반은 뒤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며 허리뼈는 편평해진다. 엉덩관절 굽힘근의 EMG활동은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의 위치에 관ㄹ계없이 비교적 낮게 기록된다. 운동 전에 부분적으로 굽게 된 엉덩관절은 큰 볼기근의 수동장력을 증가시키고 이는 골반의 뒤쪽기울임을 보조한다.
윗몸 일으키기의 엉덩관절 굽힘 단계동안에 골반과 몸통은 넙다리뼈를 향해 돌림 운동한다. 엉덩관절 굽힘 단계는 엉덩관절 굽힘근의 능동적 수축에 의해서 유발된다. 엉덩근 넙다리빗근 및 넙다리 곧은근에서 기록되는 상대적인 EMG수준은 다리가 지지면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때 더 크게 나타난다. 완전한 윗몸일으키기의 엉덩관절 굽힘 단계 동안의 돌림 축은 엉덩관절 방향으로 이동한다. 배 근육은 등척성 활동을 유지하고 돌림 하는 골반에 대해서 등허리 뼈 영역은 굽힘 된 상태로 유지된다.
완전한 윗몸일으키기에 있어 배 근육근들에 부과되는 역학적 일부 하는 엉덩관절 굽힘근들과 비교할 때 다르다. 윗몸일으키기의 몸통 굽힘 단계에서 배 근육은 골반 쪽으로 몸통을 돌림 시킴으로써 일을 발생시킨다. 엉덩관절 굽힘 단계에서 엉덩관절 굽힘근은 수축하여 넙다리뼈쪽으로 골반과 몸통을 돌림시킴으로써 일을 발생시킨다.
배 근육이 중간 정도로 약화된 사람은 완전한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시도할 때 특징적인 자세가 나타난다. 윗몸일으키기를 시작하는 시기에는 엉덩관절 굽힘근의 활동이 우세하게 나타나난다. 이 결과로 최소한의 등허리뼈부위 굽힘과 과도하고 초기에 나타나는 넙다리뼈에 대한 골반굽힘이 나타난다. 윗몸 일으키기를 시작하는 시점에서 엉덩관절 굽힘근이 과도하게 수축되면 심한 허리뼈 척추 앞굽이가 유발된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엉덩관절에서 근육의 기능 (0) | 2022.03.03 |
---|---|
머리목 근육들 사이의 기능적 상호작용 (0) | 2022.03.03 |
속질핵탈출증(HNP, 디스크, 척추원반탈출증) (0) | 2022.03.03 |
손목관절 굽힘 근육의 기능 (0) | 2022.03.02 |
손목관절 폄 근육들의 기능 (0) | 2022.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