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발목 관절

봉봍 2022. 3. 9. 16:02
728x90

발목관절이란 용어는 주로 talocrural joint를 말하는 것이나 발목관절 관계된 2개의 관절인 몸 쪽 정강 종아리 관절과 먼쪽 정강 종아리 관절 또한 포함시킨다. 발이라는 용어는 정강뼈와 종아리뼈의 먼 쪽 부위에 있는 모든 구조들을 말한다. 이러한 분류에는 목말 뼈는 발목관절과 발 양쪽 모두에 포함되는 구조로 간주된다. 목말 뼈는 발목관절과 발에서의 국소 운동학과 하지 전체의 운동학 모두에 있어 필수적인 역할을 갖고 있는 중요한 뼈이다.

 

발목관절 및 발은 손목관절 및 손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여러 가지 특징들을 갖고 있다. 아래팔에 있는 노뼈와 종아리에 있는 정강뼈는 각각 손목뼈 및 발목뼈와 같은 작은 뼈들과 관절하고 있다. 손목 관절에 있는 콩알 뼈를 종자 뼈로 간주했을 때 손목뼈와 발목뼈는 각각 7개의 뼈들을 갖게 된다. 좀 더 먼 쪽에 있는 발가락뼈들은 물론 손 허리뼈와 발 허리뼈들의 운동면은 거의 동일하다. 주목할 만한 예외사항은 발에 있는 첫 번째 발가락이 손에 있는 엄지처럼 기능적으로 잘 발달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전체하지는 태아 발생기 동안 가쪽돌림한다. 이러한 결과로 첫 번째 발가락은 발의 안쪽면에 위치하게 되고 발의 위면이 발의 발등면이 된다. 이러한 방향은 아래팔 부위가 완전히 엎침 되었을 때의 손의 방향과 유사하다. 발의 이러한 척행 위치는 걷기와 서있는 자세를 위해 사용된다.

 

발목관절은 1도의 자유도를 가지고 있다. 이 관절에서의 운동은 목말뼈몸통과 양 복사뼈들의 끝부분을 통과하는 돌림 축에 대해서 일어난다. 촉지에 의해 알 수 있듯이 가쪽 복사뼈는 안쪽 복사뼈에 비해 뒤 아래 방향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돌림 축은 순수한 안가쪽축에서 약간 떨어져 있다. 

 

그림 A, B에서 설명되고 있는 것과 같이 돌림축이 목말 뼈의 안쪽면에서 가쪽 면쪽으로 지나가면서 양복사 뼈들을 통과할 때 이 돌림 축은 약간 앞 위쪽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축은 이마면에서는 약 10도 그리고 가로면에서는 약 6도 정도 순수한 안가쪽축으로부터 이탈되어 있다. 이러한 돌림 축의 기울임 때문에 발등 굽힘은 약간의 가쪽 번짐 및 가쪽 번짐과 연관이 있으며 발바닥 굽힘은 약간의 모음 및 안쪽 번짐과 연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축의 위치에 의해 발목관절은 엎침과 뒤침의 움직임을 생산하게 된다. 순수한 안가쪽축과 비교할 때 방향에서의 차이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발목관절에서 일어나는 엎침과 뒤침의 주요 성분은 당연히 발등 굽힘과 발바닥 굽힘이 된다.

 

평균 26도의 발등굽힘과 46도의 발바닥 굽힘이 발목관절에서 측정된다. 그러나 목말 밑 관절에서 엎침과 뒤침을 수행할 때 일어나는 발등 굽힘과 발바닥 굽힘의 양은 발목관절에서 일어났던 전체 운동의 약 20%만 나타나게 된다. 발목관절에서의 0도 위치는 발이 종아리에 대해 90도의 상태로 높여 있는 것을 말한다. 발목관절에서의 발등 굽힘과 발바닥 굽힘은 발에 부하가 주어지지 않을 때(즉, 발이 땅에서 떨어져 자유롭게 돌림 운동을 하고 있을 때)와 걷기의 입각기 동안 발에 부하가 주어질대 관찰할 수 있다.

 

 

걷기의 입각기 동안 발목관절의 전진적인 안정화


발뒤꿈치 닿기 초기에서 발목관절은 지면에 발을 내려놓기 위해 빠르게 발바닥굽힘한다. 걷기의 발바닥 닿기 단계가 일어나자마자 종아리는 발에 대해 앞쪽으로 돌림 운동하기 시작한다. 발등 굽힘은 발뒤꿈치 떼기 직후까지 계속된다. 걷기 주기의 이 시점에서 발목관절은 늘어나게 된 많은 곁 인대들과 발바닥 굽힘근들에서의 증가된 장력에 의해 안정성이 증가하게 된다. 발등 굽힘 된 발목관절은 좀 더 넓은 목말 뼈의 앞쪽 부위(도르라면)가 장못구멍의 정강 종아리 구성으로 끼여 들어가기 때문에 더욱 안정성이 증가하게 된다. 목말 뼈가 목 부위에 끼이게 되는 효과는 먼쪽 정강뼈와 종아리뼈가 약간 분리되게끔 한다. 이 같은 작용은 먼쪽 정강 종아리 인대와 뼈 사이 막에서의 장력에 의해 저항된다. 걷기의 밀기 단계 초기에서 발목관절은 잘 안정된 상태로 놓여있기 때문에 체중의 4배 이상에 달하는 압박력을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다.

 

완전한 발등굽힘에서 일어난 장못부분 오목면이 약간 벌어짐은 종아리뼈의 작은 움직임에 유발한다. 늘어나게 된 앞 정강 종아리 인대와 뒤 정강 종아리 인대의 힘 선은 몸 쪽 정강 종아리 관절의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종아리뼈의 작은 위쪽 병진 운동을 생산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몸 쪽 정강 종아리 관절은 기능적으로 무릎관절보다는 발목관절과 더욱 연관이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