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쪽손목굽힘근을 제외하고 외재 근육의 힘줄이 손목뼈에 바로 정지하는 경우는 없다. 대부분의 근육들은 손 허리뼈와 손가락뼈의 바닥부에 정지하여 손목 관절에 대한 일차적인 작용을 수행한다. 모든 손목 관절 운동에 대한 돌림 축은 알 머리뼈의 바닥부에 위치한다. 손목 관절의 근육에 있어 이러한 돌림의 앞 뒤축 또는 안가쪽축을 바로 통과하여 손목 관절을 지나가는 근육은 없다.
근육이 손목관절의 돌림 축을 바로 통과하게 되면 모멘트 팔의 길이는 제로가 되어 토크를 생산할 수 없게 되고 토크를 생산할 수 없기 대문에 손목 관절에서의 돌림 운동도 존재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손목 관절을 지나가는 모든 근육은 돌림 축을 바로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시상면과 이마면에서 토크를 생산할 수 있는 다양한 길이의 모멘트 팔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짧은 노쪽손목폄근은 손목 관절의 운동을 위한 돌림의 안가쪽축에 대해서는 등 쪽으로 지나가고 돌림의 앞 뒤축에 대해서는 가쪽으로 지나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근육은 돌림의 앞 뒤축에 대해 가쪽으로 지나가기 때문에 노쪽편위를 위한 모멘트 팔을 갖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돌림의 안가쪽축에 대해 등 쪽으로도 지나가고 있기 때문에 손목 관절의 폄을 위한 모멘트 팔도 갖게 된다.
손목 관절을 지나가는 대부분의 근육들에 대한 가로 단면적을 보면 근육의 상대적인 힘을 예상하는데 도움이 된다. 어떤 연구에서는 손목 관절 근육이 알 머리뼈 머리를 통과할 때의 모멘트 팔의 위치와 길이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자료들을 통해 손목 관절 근육의 작용과 상대적인 토크를 추정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손목 관절 폄근육의 기능
일차적인 폄근육
- 긴노쪽손목 폄근
- 짧은노쪽손목 폄근
- 자쪽손목 폄근
이차적인폄근육
- 온 손가락 폄근
- 집게 폄근
- 새끼 폄근
- 긴 엄지 폄근
일차적인 손목 관절 폄근육의 세 가지는 긴노쪽손목폄근, 짧은 노쪽손목폄근, 그리고 자쪽손목폄근이다. 온손가락폄근은 확실한 손목관절 폄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으나. 주로 손가락 폄에 연루된다. 다른 이차적인 손목관절 폄근육으로는 집게손가락폄근, 새끼폄근, 그리고 긴 엄지폄근이 있다.
일차적인 손목관절 폄 근육들의 이는 곳은 위팔뼈의 가쪽 위 관절 융기와 자뼈의 등 쪽모서리에 위치한다. 긴노쪽손목폄근과 짧은노쪽손목폄근은 둘째와 셋째손허리뼈의 등쪽 바닥부에 나란히 닿고 자쪽손목폄근은 다섯째손허리뼈의 등쪽 바닥부에 닿는다. 손목 관절의 등쪽면과 등쪽 노쪽면을 지나가는 근육들의 힘줄은 손목관절을 가로지르는 폄근지지띠에 의해 적절히 고정된다. 폄근지지띠는 자쪽손목굽힘근, 콩알뼈, 그리고 콩알손허리인대의 바닥쪽에 부착되기 위해 자뼈의 붓돌기 주위를 감싼다. 그리고 이러한 폄근지지띠는 노뼈의 붓돌기와 노쪽곁인대에 부착된다. 편근지지띠와 손목관절의 등쪽면 사이에는 힘줄들과 이 힘줄들의 윤활집을 수용하고 있는 여섯 개의 섬유뼈관이 있다. 폄근지지띠는 능동 폄동안 힘줄들이 노손목관절에서 활시위처럼 당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폄근지지띠와 여기에 관계된 힘줄들은 손목관절의 등쪽면을 안정시키는 데 있어 등쪽관절인대들을 보조한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질핵탈출증(HNP, 디스크, 척추원반탈출증) (0) | 2022.03.03 |
---|---|
손목관절 굽힘 근육의 기능 (0) | 2022.03.02 |
손목관절 (0) | 2022.03.02 |
팔꿉관절 근육의 기능 (0) | 2022.03.02 |
팔꿉관절과 아래팔복합체 (0) | 2022.02.28 |